반응형
아네모네 꽃 효능 부작용 전설 꽃말
학명 : Anemone 계 : 식물 문 : 속씨식물 강 : 쌍떡잎식물 목 : 미나리아재비목 원산지 : 지중해 연안 알뿌리에서 7∼8개의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잎은 밑에서는 3개씩 갈라진 깃꼴겹잎이고 윗부분에 달린 포는 잎처럼 생겼으나 대가 없으며 갈래조각에는 모두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지름 6∼7cm이고 홑꽃과 여러 겹꽃이 있으며, 빨간색·흰색·분홍색·하늘색·노란색·자주색 등으로 핀다. 6월에 잎이 누렇게 되면 알뿌리를 캐어서 그늘에 말려 저장하였다가, 9∼10월 기름진 중성 토양에 깊이 심는다. 번식은 알뿌리나누기나 종자로 한다. 북반구에 약 90종의 원종이 있다. 대표적인 아네모네 코로나리아(A. coronaria)는 지중해 연안 원산이며, 햇볕이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잘 자란다. 가을에 심으며 이른봄에 꽃줄기가 나와 지름 6∼7cm의 꽃이 달린다. 꽃이름은 그리스어의 아네모스(Anemos:바람)에서 비롯하였다. 꽃말은 ‘사랑의 괴로움’이다. 그리스신화에서는 미소년 아도니스가 죽을 때 흘린 피에서 생겨난 꽃이라고 한다. 한국에는 설악산에서 자라는 바람꽃(A. narcissiflora), 한라산에서 자라는 세바람꽃(A. stolonifera), 흔히 볼 수 있는 꿩의바람꽃(A. nikoensis) 등이 자란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네모네 [anemone] (두산백과) |
반응형
꽃말 배신, 속절 없는 사랑 기대, 기다림. 사랑의 괴로움, 허무한 사랑, 이룰 수 없는 사랑, 사랑의 쓴맛. 제 곁에 있어 줘서 고마웠어요. 당신을 사랑하니까 저의 모든 것을 드릴게요. 나는 당신을 영원히 사랑할 거예요. 비록 당신이 날 사랑하지 않더라도 전 당신을 사랑합니다. 이 모든 말들이 아네모네가 가지고 있는 꽃말이다. 가장 많은 꽃말을 가진 꽃인 만큼 전해오는 이야기도, 구슬픈 사연도 많은 꽃. 아네모네의 꽃말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모두 이별 후에 느끼는 안타까운 심정을 담고 있는 것 같다. 아무리 여러 말로 곱씹어 보아도, 결국 모든 이별은 슬프기 마련이다. 그래서 나는 아네모네를 볼 때마다 눈물이 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네모네 [Anemone] - 이별의 말들 (쁘띠 플라워, 2010. 4. 20., 김혜진) |
아네모네 아네모네는 유럽에서 미의 덧없음의 상징인데 그것은 그 꽃이 아름답기는 하지만 따면 금방 시들어버리기 때문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아네모네는 슬픔과 죽음의 상징이었다. 이는 미소년 아도니스가 멧돼지에게 살해되었을 때에 땅에 떨어진 피에서 아네모네가 피어났다는 신화에 의한다. 따라서 그리스도교 시대에도 아네모네는 그리스도 수난시의 피와 연결되고, 또한 그때의 마리아의 슬픔의 상징으로 되었다. 그러나 한편, 아네모네는 <부활제의 꽃(Easter flower)>이라고 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거기에는 영생의 의미도 들어있다. 그리고 이는 그리스시대부터 계승된 사고방식으로, 아네모네가 부활과 영생의 상징이 된 것은 그것이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꽃말은 <병>, <기대> 등. [네이버 지식백과] 아네모네 [anemone]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
붉은 피 아도니스, 아네모네 아름다움과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는 어느 날, 아름다운 청년 아도니스를 보고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아도니스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그녀는 그를 자신의 곁에만 있게 하고 싶었다. 하지만 젊은 청년에게서 미지의 세계와 모험에 대한 열망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것. 그는 아름다운 아프로디테의 곁에 있는 것만큼이나, 푸른 초원을 달리며 사냥하는 것을 좋아했다. 아도니스의 사냥을 말리는 아프로디테. 티치아노의 그림 날이 갈수록 아프로디테의 근심은 늘어갔다. 하지만 끓어오르는 혈기가 어떤 것인지 잘 아는 그녀는 그를 강하게 말릴 수 없었다. 다만 그에게 사냥을 하더라도 호랑이나 멧돼지 같은 사나운 동물을 뒤쫓는 것만은 삼가하라고 당부했을 뿐이었다. 하지만 자신감 넘치는 젊은 청년이었던 아도니스에게 그녀의 충고는 그저 잔소리로밖에 들리지 않았다. 결국 아도니스는 위험한 사냥에 나섰다가 사나운 멧돼지의 공격에 치명상을 입고 어이없는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일설에는 아도니스의 죽음은 질투에 의한 것이었다고도 한다. 아프로디테의 오랜 연인이었던 전쟁의 신 아레스가 그녀의 사랑을 차지한 아도니스에게 화가 나서 멧돼지를 보낸 것이었다고 말이다. 우연에 의한 것이었든, 질투에 의한 것이었든 그를 잃게 된 아프로디테는 망연자실했다. 하지만 그녀는 신이었다. 그녀는 그를 이렇게 허망하게 보낼 수는 없었다. 그녀의 바램은 아도니스가 흘린 피에서 한송이 꽃이 피어나게 만들었다. 아도니스의 붉은 피는 생전의 그의 모습처럼 아름다운 붉은 꽃, 아네모네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 그리스 신화 중, 아네모네가 된 아도니스 중에서.. 아도니스의 피가 붉은 꽃 아네모네가 되었다는 전설 아도니스의 피에서 피어났다는 아네모네. 꽃말은 '사랑의 괴로움' 아름다운 꽃 중에는 누군가의 혼이 담겨 있다는 전설이 알려진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만을 바라보다가 죽은 나르킷소스는 고고한 수선화가 되었다고 하고, 태양신인 아폴론을 사랑했던 클뤼티에는 짝사랑에 목이 말라 해바라기가 되었다고 하지요. 이 밖에도 수많은 아름다운 꽃들이 저마다 가슴아픈 사연들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눈에 띠는 전설 몇몇은 피에서 피어난 꽃입니다. 아네모네 외에도 아폴론의 총애를 받았던 미소년 히아킨토스가 흘린 피에서는 히아신스가 피어났다고 하고, 또한 중국 당나라 때에는 왕이 되고자 했다가 실패하고 군사들에게 쫓겨 비참하게 숨을 거둔 주도의 몸에서 흐른 피가 수달래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습니다. 옛 사람들도 피를 많이 흘리면 죽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겁니다. 그래서인지 사람의 몸에서 흐르는 피는 단순한 체액이 아니라, 사람의 정기(精氣)가 깃든 귀중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래서 정기가 집적된 피에서는 죽은 이의 혼이 담긴 꽃이 피어났다는 전설이 만들어진 것일 테지요. 그렇다면 정말 우리가 피를 많이 흘리면 죽게 되는 것은 정기를 잃기 때문일까요? 피를 흘리면 위험한 이유는 피가 산소를 운반하기 때문 혈액은 체중의 7~8% 정도를 차지하므로 건강한 성인이라면 약 4~6리터의 혈액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1/5 이상을 잃게 되면 생존에 위협을 받게 됩니다. 혈액이 하는 일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주요한 일은 각종 물질들을 온몸 구석구석으로 전달해주는 일이지요. 혈액이 몸 전체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받아온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피가 하는 수많은 일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바로 산소 전달이며, 피를 잃으면 목숨을 잃는 주요 원인이 바로 산소 전달력의 상실로 인한 산소 부족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몸에 산소가 왜 필요한 것일까요? 우리가 먹은 음식물 속에 포함된 에너지원들은 소화과정을 통해 포도당의 형태로 변환되어 혈액을 타고 각 세포로 전달됩니다. 세포들은 이렇게 받은 포도당을 이용해 ATP를 생성해냅니다. ATP는 아데노신 삼인산(Adenosi neTriphosphate)의 약자로, 세포 내 에너지원입니다. 음식물 속에 포함된 포도당은 그대로 세포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세포내 에너지원인 ATP를 만드는 원천으로 이용되는 것이죠. ATP는 아데노신2인산(ADP, adenosine diphosphate) 에 인산을 하나 붙여서 만들어집니다.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필요하듯이, 세포 내에서 생명 활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ATP가 필요합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 배터리인 ATP를 충전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휴대폰 배터리는 다 쓰면 버리는 것이 아니라 충전해서 다시 사용하는 것처럼,ATP는 세포 내 생명활동에 사용되고 난 뒤에는 ADP라는 물질로 변하는데, 미토콘드리아는 이 ADP를 다시 ATP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계속 공급합니다. 이 과정을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지요. 수식을 잘 보시면 아시겠지만,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ADP를 ATP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는 산소가 필요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산소가 없이도 해당과정을 통해 ATP를 만들어낼 수 있기는 하지만, 무산소 ATP 합성과정은 효율이 너무 낮은데다가 피로물질인 젖산도 많이 생성되어, 이 것만으로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ATP를 모두 감당하기에는 무리입니다. 또한 ATP는 수명이 매우 짧습니다. 사람이 물 속에서 살아갈 수 없는 이유는 숨을 쉬지 못해서이며, 숨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서이고,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면 세포들이 에너지원인 ATP를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물 속에서 잠깐은 괜찮지만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없는 것은 바로 ATP의 수명이 매우 짧기 때문입니다. ATP는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꾸준히 만들어내야 하는 에너지원입니다. 그리고 이는 사람이 피를 잃으면 살아갈 수 없는 이유와 같습니다. 산소 배달의 기수, 적혈구 이렇게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산소를 온 몸 구석구석으로 배달해주는 일을 하는 것이 바로 혈액이며, 그 중에서도 적혈구입니다.적혈구를 이루는 주요 물질은 헤모글로빈(Hemoglobin)이라는 단백질로, 이 헤모글로빈은 4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유닛에는 철(Fe) 성분이 들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 철 성분은 산소에 대해 끈끈이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은 4개의 유닛으로 되어 있고, 각 유닛은 산소 끈끈이 철 성분을 1개씩 가지고 있으니, 헤모글로빈 하나는 4분자의 산소를 운반할 수 있지요. 사람의 피가 붉게 보이는 이유 역시 철 성분 때문인데, 철이 산소와 결합되어 산화되면 붉은 색을 띠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도 주변에서 산소와 결합된 철, 즉 녹이 슬어서 붉게 변한 철을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이처럼 산화된 철의 빛은 붉은색이므로 우리의 피는 붉은색을 띠게 되는 것이죠. 만약 헤모글로빈이 철이 아닌 구리 성분과 결합되어 있다면, 인간의 피는 붉은색이 아니라 산화구리의 색인 파란색을 띠게 될 것입니다. (실제로 연체동물들은 이런 이유로 인해 파란 피를 가지고 있답니다) 사람의 경우에는 철 성분에 산소를 붙여 움직이므로, 철이 부족해지게 되면 적혈구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산소운반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우리는 이런 현상을 빈혈(貧血)이라고 합니다. 빈혈에 철 성분이 좋다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랍니다.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사람을 죽게 하는 일산화탄소 만약 피를 잃게 되면 이런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게 되므로 세포는 산소 부족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피를 전혀 잃지 않아도 마치 피가 한 방울도 없는 것처럼 조직들이 산소 부족으로 죽는 경우도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이 좋아하는 기체가 산소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산소 외에도 다른 기체들과 결합하는데, 그 중에서 일산화탄소에 대한 사랑은 맹목적이라고 할 만큼 절대적이지요. 흔히 ‘연탄가스’의 독성 성분으로 잘 알려진 일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이 가장 ‘원츄’하는 기체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산소에 비해 일산화탄소를 200배 이상 좋아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 일산화탄소가 조금이라고 존재하면 헤모글로빈은 미련없이 산소를 내팽개치고 일산화탄소와 결합합니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0.1%의 일산화탄소는 21%나 차지하는 산소를 헤모글로빈에게서 간단히 밀어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일산화탄소는 세포내 에너지 생산에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신체는 피를 한 방울도 잃지 않았음에도 30분 이내에 산소 부족으로 사망하는 것이지요. 우리 피를 말리는 대기오염 우리가 피를 잃으면 살아갈 수 없는 것은 피가 산소를 전달해주기 때문이며, 그 산소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수혈’을 통해 피를 대량으로 잃는 경우에도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같은 기간 동안 우리는 피가 있어도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더 많이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바로 대기오염을 통해 말이지요. 앞서 말한 일산화탄소는 탄소 성분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합니다. 또한 탄소 성분을 지닌 물질-나무, 종이, 석유, 석탄 등등-이 연소할 때에는 예외없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자동차 배기가스 속에 포함된 일산화질소 역시 헤모글로빈이 사랑하는 기체들입니다. 이들 모두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대기 중에 이런 기체들이 섞여 있게 되면, 우리 몸 속에서는 피가 부족한 것과 동일한 상황이 만들어집니다. 피가 귀하다는 것을 이미 오래전에 알아챈 인간들이 자신의 피를 말리는 일을 계속해서 하고 있는 것은 도대체 무슨 이유에서일까요? [네이버 지식백과] 붉은 피 - 아도니스, 아네모네 (생물산책, 이은희) |
반응형
'사진 연구팀 > 꽃(FL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치콩 편두 효능 꽃말 특징 (0) | 2021.03.07 |
---|---|
칸나꽃 효능 부작용 전설 꽃말 (0) | 2020.10.06 |
코스모스 효능 꽃말 전설 (0) | 2020.10.05 |
나팔꽃 꽃말 전설 효능 (0) | 2020.08.14 |
해바라기 꽃 꽃말 효능 전설 특징 이름유래 (0) | 2020.08.03 |